Development/WIL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WIL_ORM, SQL, NoSQL 이번주 Lv3 과제를 하며 그동안 많이 써오던 mongoDB에서 MySQL로 데이터 베이스를 바꾸게 되었다. mongoDB는 NoSQL 계통 데이터베이스이고 MySQL은 RDBMS 계통 데이터베이스이다. 두 종류의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보고 느낀점은 mongoDB가 확실히 유연하고 확장성이 좋다는 점이다. MySQL은 데이터베이스나 스키마 구조가 변경되었을 때 수행해야하는 절차가 좀 까다로워 그 점이 불편하게 다가왔다. 하지만 MySQL은 ACID 특성을 지키기 위해 일련의 절차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 같다.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바뀌면서 프레임 워크도 Sequelize로 바뀌었다. Sequelize는 Node.js의 대표적인 ORM 프레임 워크이다.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 WIL_RESTful API, package json RESTful API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서버를 설계할 때 많이 사용되는 스타일이다. 클라이언트는 URI를 사용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리소스를 식별하고, HTTP 메서드를 사용하여 해당 리소스에 대한 작업을 지정한다. 서버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적절한 응답을 반환한다. package.json은 node.js에서 사용되는 파일이다. 이 파일은 프로젝트에 사용된 라이브러리와 버전을 기록한다. 그래서 협업과 배포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래서 프로젝트를 관리할 때 필수적이며 npm을 사용하여 해당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할 수 있다. 이번주 회고 이번주 학습 시간은 약 89시간이다. 목표로 했던 100시간에 한참 못미치는 수치이다. 4월이 한 주밖에 남지 않았다. 남은 일주일동안 꼭 100시간을 달성해봐.. WIL - Express 미들웨어, RESTful Express란? node.js를 이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서버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 워크이다. middleware(미들웨어)란? express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 (request)을 처리하기 전에 실행되는 함수이다. 바꿔말하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가로채 처리를 하거나 다른 미들웨어 함수에 요청을 전달한다. 즉,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미들웨어가 최우선적으로 처리한다. app.use() 또는 router.use()로 등록한다. RESTful(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 방식을 규정하는 아키텍처(설계도) 스타일 RESTful 웹 서비스는 리소스(자원 = 데이터) 단위로 구성되며, 각 리소스는 .. JavaScript의 ES란?, ES5/ES6 문법 차이 ES란? ECMA Script를 의미하며, JavaScript의 표준화를 위한 규격을 의미한다. ES5와 ES6의 차이 자바스크립트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ES도 계속 업데이트되고 있다. ES5는 2009년에 업데이트된 버전이며 ES6는 2015년에 업데이트 되었다. ES6는 2019년까지 매년 업데이트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ES6의 주요 변화 let, const 키워드 추가 기존 var 키워드의 암시적 재할당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추가 화살표 함수 (Arrow Function) 추가 함수를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게 되었음. 기존 함수와 this 바인딩이 다름. 백틱 추가 ${}를 통해 표현식 삽입이 가능 모듈 재사용하기 위한 코드 조각을 뜻함 타입에 모듈을 추가하고 파일 확장자를 mjs로 변경 모..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