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elopment/WIL

(12)
WIL_최종 프로젝트 6주차 (종료) 지난주 회고 길고도 짧았던 최종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 중간 어느 시점엔 깜깜한 터널에 갇힌 것처럼 답답할 때도 있었지만 결국 시간이 해결해 준 것 같다. 완성도를 떠나서 개인적으로 매우 많은 발전을 했다고 생각한다. 다음주 목표 최종 프로젝트는 끝이 났지만 이제 또 다른 시작이다. 진정한 의미론 이제 겨우 한 발자국을 내딛은 것이다. 다시 집중해서 좋은 이력서 만들기에 집중해보자. 이력서 작성 CS 공부 코딩 테스트 준비 지원할 회사 리스트업
WIL_최종프로젝트 5주차 지난주 회고 목표했던 기능 고도화와 성능 개선을 모두 진행하지 못했다. 최종 발표회가 1주일 앞으로 다가와 우선적으로 해야할 일이 생겼기 때문이다. 현재 프로젝트에 적용된 기술 및 트러블 슈팅과 같은 회고의 문서화 작업이 우선순위가 되었다. 그래서 내가 맡았던 기능과 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적용했던 기술들에 대한 회고를 진행했다. 이번주 목표 아직 서버 스트레스 테스트가 완료되지 않았다. 빠르게 마무리하고 발표 ppt 작업을 진행해야한다. 발표 준비를 완료하고 시간이 남아 미처 하지 못했던 기능 고도화와 성능 개선을 진행해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WIL_챌린지 프로젝트 4주차 지난주 회고 문장 단위 Diff, Patch 코드 구현을 완료했다. 개념은 검색을 통해 쉽지 않게 찾을 수 있었지만 코드 레퍼런스는 거의 없다시피 했다. 구글링과 gpt를 활용해 코드를 완성할 수 있었고 테스트를 통한 수정 보완 후 멘토링 때 만족스러운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이번주 목표 이제 실제 코드를 만질 수 있는 시간은 1주일이 채 남지 않았다. 남은 시간을 잘 활용해 기능 고도화와 성능 개선에 집중해야한다. 사실 두 가지를 모두 하기엔 시간이 부족할 것 같다. 우선 기능 고도화에 초점을 두고 진행해야겠다. 기능 고도화 : 실시간 인기게시글, 신고제재 성능 개선 : diff 데이터를 줄이기 위한 압축 알고리즘 (허프먼?)
WIL_챌린지 프로젝트 3주차 이번주 회고 API 1차 스코프 구현을 완료하고 2차 스코프 구현에 돌입했다. 나는 생성된 문서를 불러오는 기능을 맡았는데 롤백이 중요한 요소이다. 멘토링을 통해 기존에 문서 변경 추적에 사용한 알고리즘을 수정사항이 생겼다. 다음주 목표 문서의 변경 사항을 글자 단위가 아니라 라인 단위로 추적하는 알고리즘으로 수정해야한다. 특정 버전으로 롤백하면 해당 버전을 최신 버전으로 바꿔줘야하고 새로운 버전으로 생성해야한다. 각 버전의 변경 사항 데이터를 이용해 문서의 변경 이력도 보여줘야 한다. 스케줄 관리를 잘해서 밀도있는 한주를 보내야한다.
WIL_최종프로젝트 돌입 첫주 최종프로젝트 1주차가 지났다. 이번주는 멘토님의 피드백에 맟춰 기획을 수정 보완하고 nestJS를 학습하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다. 기획 측면에서는 챌린지 팀의 특성에 맞게 잘 진행되었다고 생각한다. 팀원들과 계속해서 소통을 한 것이 피로도는 높았지만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소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실감했다. 짧은 시간이지만 nestJS를 학습하고 느낀 점은 JavaScript의 장점이자 단점인 높은 자유도를 상당부분 엄격하게 제한해놓았다는 것이다. typescript를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타입을 정의해줘야하는데 아직 적응이 힘들다. 반면에 cli를 이용하여 굉장히 편리하게 파일을 생성할 수 있었다. 명령어를 이용해 파일을 생성할 때 목적을 체크하는데 체크한 목적에 따라 기본적인 코드가 쓰여진 상..
WIL_클론코딩 프로젝트 회고 https://redjun89.tistory.com/104 클론 코딩 프로젝트 회고 오늘 클론 코딩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종료되었다. 토이 프로젝트를 한 차례 진행한 경험이 있어서인지 전체적인 진행에 지난번과 같은 아쉬움은 없었다. 프로젝트 발표에서 기술 매니저님의 피 redjun89.tistory.com 이번주 회고 지난주 목표는 socket.io를 공부하고 적용해보는 것이었는데 내가 담당한 기능을 디버깅하느라 다른 팀원이 맡아서 진행하였다. 다음주 목표 최종 프로젝트에 돌입하였는데 최우선 목표는 nest.js 적용이다. 돌아오는 주엔 nest.js에 대해서 학습하고 추가로 이번 프로젝트에서 도전해보기로 한 기술 중에 하나를 골라서 공부해볼 예정이다.
WIL_토이프로젝트 회고 주특기 토이프로젝트 회고 주특기 토이프로젝트 회고 주특기 토이프로젝트 발표가 끝났다. 늘 그렇지만 결과물은 항상 아쉽다. 기획 단계부터 배포까지 되돌아보려고 한다. 기획 단계에 많은 리소스를 투자해야 좋은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다고 한 redjun89.tistory.com 이번주 회고 지난 주특기 토이 프로젝트는 FE 인원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개발 스코프를 BE 인원에 비해 작게 설정했다. 그래서 기본적인 CRUD 기능만 구현하는 것에 그쳤지만 협업을 진행하며 느낀 점이 많았다. 이번에 진행하는 클론 코딩과 앞으로 진행하게 될 메인 프로젝트에서는 아쉬웠던 부분을 보완하여 진행하면 더욱 발전적인 결과물이 나올 것이라 생각한다. 다음주 목표 이번 클론코딩에서 우리 조는 페이스북을 클론 코딩하는데 기술 매니저..
WIL_CORS CORS가 무엇인가? 이번주 WIL의 키워드가 CORS이다. 처음들어봐서 일단 GPT에게 개념을 물어봤더니 아래와 같은 답변을 받았다. CORS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가 다른 도메인에서 호스팅되는 리소스에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는 보안 기능이다. 기본적으로 브라우저는 같은 도메인에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만이 다른 도메인에서 호스팅되는 리소스 (예를 들어 이미지, 폰트, 스크립트, API 엔드포인드 등)에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CORS를 허용하는 서버는 다른 도메인에서 실행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도 해당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CORS를 구현하면, 서버는 HTTP 응답 헤더를 사용하여 브라우저가 해당 도메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