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elopment/JavaScript

JS 기초 _보충(연산자, 함수 스코프)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s)

 
1. 더하기 연산자(+)

console.log(2 + 3);       // 5
console.log("2" + "3");   // "23"
console.log("2" + 3);     // "23"
console.log(2 + "3");     // "23"

위의 예제에서는 더하기 연산자를 사용하여 숫자나 문자열을 더할 수 있다. 이때, 더하기 연산자는 숫자와 문자열을 함께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문자열로 변환한다.
 
2. 빼기 연산자(-)

console.log(5 - 2);       // 3
console.log("5" - "2");   // 3
console.log("5" - 2);     // 3
console.log(5 - "2");     // 3
console.log("five" - 2);  // NaN

위의 예제에서는 빼기 연산자를 사용하여 숫자를 뺄 수 있다. 이때, 빼기 연산자는 숫자와 문자열을 함께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숫자로 변환한다.
 
3. 곱하기 연산자(*)

console.log(2 * 3);       // 6
console.log("2" * "3");   // 6
console.log("2" * 3);     // 6
console.log(2 * "3");     // 6
console.log("two" * 3);   // NaN

위의 예제에서는 곱하기 연산자를 사용하여 숫자를 곱할 수 있다. 이때, 곱하기 연산자는 숫자와 문자열을 함께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숫자로 변환한다.
 
4. 나누기 연산자(/)

console.log(6 / 3);       // 2
console.log("6" / "3");   // 2
console.log("6" / 3);     // 2
console.log(6 / "3");     // 2
console.log("six" / 3);   // NaN

위의 예제에서는 나누기 연산자를 사용하여 숫자를 나눌 수 있다. 이때, 나누기 연산자는 숫자와 문자열을 함께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숫자로 변환한다.
 
5. 나머지 연산자(%)

console.log(7 % 3);       // 1
console.log("7" % "3");   // 1
console.log("7" % 3);     // 1
console.log(7 % "3");     // 1
console.log("seven" % 3); // NaN

위의 예제에서는 나머지 연산자를 사용하여 나눗셈의 나머지를 구할 수 있다. 이때, 나머지 연산자는 숫자와 문자열을 함께 사용할 경우, 자동으로 숫자로 변환한다.
 
 

논리 연산자(logical operators)

1. 논리곱(&&) 연산자

console.log(true && true);   // true
console.log(true && false);   // false
console.log(false && true);   // false
console.log(false && false);   // false

위의 예제에서는 논리곱 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논리곱 연산자는 두 값이 모두 true일 경우에만 true를 반환한다.
 
2. 논리합(||) 연산자

console.log(true || true);   // true
console.log(true || false);   // true
console.log(false || true);   // true
console.log(false || false);   // false

위의 예제에서는 논리합 연산자를 사용하여 두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논리합 연산자는 두 값 중 하나라도 true일 경우 true를 반환한다.
 
3. 논리부정(!) 연산자

console.log(!true);   // false
console.log(!false);   // true
console.log(!(2 > 1));   // false

위의 예제에서는 논리부정 연산자를 사용하여 값을 반대로 바꿀 수 있다. 이때, 논리부정 연산자는 true를 false로, false를 true로 바꾼다.
 
 

타입 연산자(type operators)

typeof 연산자

console.log(typeof 123);   // "number"
console.log(typeof "123");   // "string"
console.log(typeof true);   // "boolean"
console.log(typeof undefined);   // "undefined"
console.log(typeof null);   // "object"
console.log(typeof {});   // "object"
console.log(typeof []);   // "object"
console.log(typeof function(){});   // "function"

위의 예제에서는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여 값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typeof 연산자는 원시 자료형의 경우, 해당 자료형의 이름을, 객체나 함수의 경우, "object" 또는 "function"을 반환한다. typeof null의 경우 "object"를 반환하는 버그가 있다.
 


 

함수 스코프 (Scope : 주제 등이 다루는 범위)

1. 전역 스코프(global scope)

let x = 10;

function printX() {
  console.log(x);
}

printx();   // 10

위의 예제에서는 전역 스코프에서 변수 x를 선언하고, 함수 printX에서 변수 x를 참조한다.
전역 스코프에서 선언된 변수는 어디에서든지 참조할 수 있다.
 
2. 지역 스코프(local scope)

function printX() {
  let x = 10;
  console.log(x);
}

printx();   //

위의 예제에서는 지역 스코프에서 변수 x를 선언하고, 함수 printX에서 변수 x를 참조한다. 지역 스코프에서 선언된 변수는 해당 함수 내에서만 참조할 수 있다.
 
3. 블록 스코프(block scope)

if (true) {
  let x = 10;
  console.log(x);
}

console.log(x);   // ReferenceError: x is not defined

위의 예제에서는 if문 내에서 변수 x를 선언하고, 이를 출력한다. if문 내에서 선언된 변수는 해당 블록 내에서만 참조할 수 있다.
 
 

2023. 04. 03
항해99 D-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