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 변수의 5가지 주요 개념
변수 이름 : 저장된 값의 고유 이름
변수 값 : 변수에 저장된 값
변수 할당 :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행위
변수 선언 :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컴퓨터에 알리는 행위
변수 참조 : 변수에 할당된 값을 읽어오는것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는 var, let, const 세 가지 방법으로 선언할 수 있다.
let과 const는 ECMAScript 6(ES6)에서 새로 도입된 방법이다.
// var로 변수 선언
var myVar = "Hello World";
console.log(myVar); // "Hello World"
// let으로 변수 선언
let myLet = "Hello World";
console.log(myLet); // "Hello World"
// const로 상수 선언
const myConst = "Hello World";
console.log(myConst); // "Hello World"
var는 같은 이름의 변수를 여러 번 선언해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가장 마지막에 선언한 값으로 변수가 덮어씌워진다.
let과 const는 같은 이름의 변수를 두 번 선언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const는 선언 후에 값을 변경할 수 없는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 var로 변수 덮어쓰기
var myVar = "Hello";
var myVar = "World";
console.log(myVar); // "World"
// let으로 변수 덮어쓰기
let myLet = "Hello";
myLet = "World"; // 기존 값을 덮어쓰기
console.log(myLet); // "World"
// const로 상수 선언 후 값 변경하기
const myConst = "Hello";
myConst = "World"; // 오류 발생
console.log(myConst);
데이터 형 변환
1. 암시적 형 변환(implicit coercion)
암시적 형 변환은 자바스크립트에서 자동으로 수행되는 형 변환이며, 일반적으로 연산자를 사용할 때 발생한다.
1 - 1. 문자열 변환
console.log(1 + "2"); // "12"
console.log("1" + true); // "1true"
console.log("1" + {}); // "1[object Object]"
console.log("1" + null); // "1null"
console.log("1" + undefined); // "1undefined"
위의 예제에서는 문자열과 다른 자료형이 연산자로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자바스크립트는 다른 자료형을 문자열로 변환한 후 연산을 수행한다.
1 - 2. 숫자 변환
console.log(1 - "2"); // -1
console.log("2" * "3"); // 6
console.log(4 + +"5"); // 9
위의 예제에서는 연산자를 사용할 때,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한다. 이때, 빈 문자열("")이나 공백 문자열(" ")은 0으로 변환된다.
1 - 3. 불리언 변환
console.log(Boolean(0)); // false
console.log(Boolean("")); // false
console.log(Boolean(null)); // false
console.log(Boolean(undefined)); // false
console.log(Boolean(NaN)); // false
console.log(Boolean("false")); // true
console.log(Boolean({})); // true
위의 예제에서는 Boolean() 함수를 사용하여 불리언 값으로 변환한다.
이때, 0, 빈 문자열(""), null, undefined, NaN은 false로 변환된다. 그 외의 값은 true로 변환된다.
2. 명시적 형 변환(explicit coercion)
명시적 형 변환은 개발자가 직접 자료형을 변환하는 것을 말한다.
2 - 1. 문자열 변환
console.log(String(123)); // "123"
console.log(String(true)); // "true"
console.log(String(false)); // "false"
console.log(String(null)); // "null"
console.log(String(undefined)); // "undefined"
console.log(String({})); // "[object Object]"
위의 예제에서는 String() 함수를 사용하여 다른 자료형을 문자열로 변환한다.
2 - 2. 숫자 변환
console.log(Number("123")); // 123
console.log(Number("")); // 0
console.log(Number(" ")); // 0
console.log(Number(true)); // 1
console.log(Number(false)); // 0
위의 예제에서는 Number() 함수를 사용하여 다른 자료형을 숫자로 변환한다.
2023.04.03
항해99 D-99
'Developmen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기초 _보충(조건문, 반복문) (0) | 2023.04.03 |
---|---|
JS 기초 _보충(연산자, 함수 스코프) (0) | 2023.04.03 |
배열 메서드_요약 (0) | 2023.03.15 |
JS기초_5.3(객체와 배열 고급) (0) | 2023.03.11 |
JS기초_5.2(객체 속성과 메소드) (0) | 2023.03.11 |